전체 글 (85)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터넷, tcp/ip 네트워크의 구성 조건 하드웨어적 연결 프로토콜(통신 규약) 인터넷 : 호환이 되지 않는 LAN(Local Area Network)들을 하나로 묶은 것 :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는 기술 TCP/IP : 인터넷을 사용하려고 만든 규약 초기에는 IP 프로토콜만 사용 ->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보내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사라지거나, 순서가 뒤바뀌거나, 일부가 훼손되는 일 발생 -> 데이터가 원상태로 도착하는지를 감시하고 + 인터넷으로 받은 데이터를 목적지 프로그램에 전달하는 창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도 필요해짐 그래서 TCP 프로토콜이 등장 데이터 전송 오류를 바로 잡고, 데이터를 최종 목적지 프로그램에 전달할 수 있도록 창구 역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 '전송 제어 프로토콜' 이라고도 함 ====> 그래서 인터넷을 할.. 소켓 프로그래밍(TCP/IP socket)[JAVA] TCP UDP 연결형 비연결형 신뢰성 비신뢰성 Q) TCP 는 왜 신뢰성일까..? A) 패킷 유실시에 다시 재전송을 하기 때문이다. Q) 소켓 이란..? A socket is one endpoint of a two-way communication link between two programs running on the network. A socket is bound to a port number so that the TCP layer can identify the application that data is destined to be sent to. + endpoint : ip와 port 번호의 조합 :: 소켓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(ex> 서버와 클라이언트)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. 소켓은 하.. JDBC 연동 순서 JDBC 연동 순서 JDBC 드라이버 로딩 Class.forName(”드라이버 클래스”); 데이터베이스 연결 - Connection 객체 생성 DriverManager.getConnection(); Statement 객체 생성 - 위 Connection 객체의 createStatement(); or PreparedStatement 객체 - 위 Connection 객체의 PreparedStatement(); 위 Statement/PreparedStatement 객체로부터 SQL 쿼리 실행 executeQuery() : SELECT 쿼리 수행 → ResultSet 리턴 executeUpdate() : INSERT, UPDATE, DELETE(DML) 쿼리 수행 → int 리턴 ResultSet 객체로부터 데.. 아임포트 리액트 네이티브 모듈 분석 https://github.com/iamport/iamport-react-native GitHub - iamport/iamport-react-native: React Native용 아임포트 일반.결제 및 휴대폰 본인인증 모듈입니다. React Native용 아임포트 일반.결제 및 휴대폰 본인인증 모듈입니다. Contribute to iamport/iamport-react-nativ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 github.com 본인인증 테스트 버튼 부분 코드 navigation.push('CertificationTest')} > 본인인증 테스트 onPress -> navigation.push('CertificationTest') 이므로 버튼 누르면.. TouchableOpacity onPress 안 되는 문제(TextInput 문제) 이런 구조일 때 onPress 가 안되는데 TextInput에 pointerEvents="none"을 추가해주면 잘 작동한다. DOM 이란 Document Object Model : 문서 객체 모델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 요소들을 객체로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 ex) var name = document.getElementById(id); 참고: https://m.blog.naver.com/magnking/220972680805 2.6 video streaming and content distribution networks CDN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or Content Deliverty Network =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러 노드를 가진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지리적 제약 없이 모든 사용자에게 빠르고 안전하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 기술 서버와 사용자의 물리적인 거리를 줄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사용하기 까지의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도움 + 트래픽이 특정 서버에 집중되지 않음 각 지역에 캐시서버를 분산 배치해, 사용자에게 근접한 캐시서버(CDN node)가 컨텐츠를 전달(rtt가 줄어듬) 따라서, 만약 특정 지역만을 타겟팅하는 서비스를 운영한다면, CDN 을 활용할 필요가 없음. 오히려 불필요한 연결 지점이 늘어나서 성능 저하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... @react-native-seoul/kakao-login으로 카카오 로그인 공식 문서 : https://github.com/react-native-seoul/react-native-kakao-login GitHub - react-native-seoul/react-native-kakao-login: react-native native module for Kakao sign in. react-native native module for Kakao sign in. Contribute to react-native-seoul/react-native-kakao-logi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 github.com npm install @react-native-seoul/kakao-login npx pod-install - ios .. 이전 1 2 3 4 5 ··· 1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