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85)
자바빈(JavaBean) - JavaEE의 중요한 기술 중 하나 자바 빈(Bean) 정보의 덩어리(=데이터 저장소(데이터 객체))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필드 + 데이터를 컨트롤하는 getter/setter 메소드를 하나의 쌍으로 가지고 있는 클래스 getter/setter 메소드는 자바빈의 필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작업을 함. form 같은 경우 정보를 따로따로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묶어서 전송하는 것이 효율적. (자바빈 =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는 매커니즘) 자바빈과 관련된 액션 태그
액션태그, redirect vs. forward 액션태그 jsp 페이지 내에서 어떤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태그 웹컨테이너에서 실행되는 태그(결과만 웹브라우저에 전달되어 출력됨) 1) 표준 액션 : jsp 페이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액션 ex)
내부 객체 :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 - JSP 에서 제공되는 내부객체는 JSP 컨테이너에 의해 'Servlet'으로 변환될 때 '자동으로 객체가 생성' 된다. 내부 객체의 종류 입출력 객체 request : doGet, doPost 메소드의 첫번째 파라미터의 동일한 역할 더보기 response : doGet, doPost 메소드의 두번째 파라미터의 동일한 역할 더보기 test_response.jsp =19){ response.sendRedirect("adult.jsp?age="+age); }else{ response.sendRedirect("underage.jsp?age"+age); } %> + redirect는 300대 status code 값을 가진다. out : 웹브라우저로 HTML..
태그, 지시자 JSP 태그 종류 지시자 태그 스크립팅 요소 태그 스크립트릿 자바코드 익스프레션식 결과값 선언부 변수나 메소드 선언 주석태그 액션 테그 예제 코드 - tagEx.jsp 더보기 DOCTYPE html> Insert title here
톰캣에서의 한글 처리 문제 - 톰캣 서버의 default 문자 처리 방식은 ISO-9959-1 방식 => 읽어오는 단계에서 한글은 깨져있음ㅠㅠ.. -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한글처리가 다름 1. get 방식 - Servers/ 톰캣서버 폴더내에 있는 server.xml 에서 에 URIEndoding="utf-8" 추가 + 서버 재시작 2. post 방식 - doPost 메소드 내에서 request.setCharacterEncoding("utf-8");
Form 태그를 이용한 서블릿 처리 - HTML에서 데이터들은 안에 있는 form element들을 통해서 서버로 전해진다. - parameter를 통해서 보내지는데, HTML의 name attribute가 있어야 parameter에 value를 담아 보내질 수 있다. - request 객체의 메소드들을 사용하여 받아온 것들은 String 타입으로 받게 된다. 웹에서 서버로 전달된 데이터는 일단 무조건 문자열로 받아오게 됨. - 해당되는 name 값이 없으면 null 리턴 예제 코드 더보기 Name: ID: PassWord: 취미 : 스포츠 여행 영화감상 등산 성별 : 남성 여성 서울 광주 부산 강릉 메모: protected void doPost(HttpServletRequest request, HttpServletResponse resp..
서블릿에 대해, 서블릿 작성규칙, 서블릿 클래스 상속 구조 - 서블릿 클래스 상속 구조 Servlet(인터페이스) > GenericServlet(추상클래스) > HttpServlet(클래스) > 서블릿 클래스 웹 컨테이너(tomcat) 에서는 내가 작성한 servlet 클래스의 instance를 만들어 그 서블릿 객체를 초기화 작업을 함(init() 메소드) 웹 서버 엔진(tomcat)에서 main()이 작동하기 때문에 main() 메소드가 없어도 동작함. Servlet - Servlet interface를 implements 하여 생성한 자바 클래스 - 서블릿 엔진에 의해 동작을 하며 여러사용자에 의해 호출 될 수 있음(multi-thread) - 서블릿의 인스턴스는 재활용이 가능(한버만 생성되면 됨) Servlet 작성 규칙 - javax.servlet.ht..
서블릿 vs. JSP 서블릿 JAVA 코드 내에서 HTML 을 다룰 수 있음. JAVA로 처리할 코드가 많다면 서블릿에.. => 그래서 서블릿은 MVC 모델에서 '컨트롤러' 역할로 많이 쓰임 JSP HTML 코드 내에 JAVA 코드를 넣을 수 있음. 브라우저에 보일 내용이 메인이면 JSP에.. => 그래서 JSP는 MVC 모델에서 '뷰'역할로 많이 쓰임